카테고리 없음

전고체전지란 무엇인가?

BOSs World 2021. 3. 13. 13:48
728x90
반응형

■ 전고체전지의 종류
  
  전고체전지는 크게 "벌크형전고체전지"와 "박막형전고체전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벌크형과 박막형의 특징]



■ 전고체전지의 실용화 개발상황
   전고체전지의 보급에 있어서,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지는 고체전해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성이나 신뢰성관점에서 고체전해질을 이요한 전고체전지는 전지의 이상형이라고
   생각되어 지고 있는 동시에 고체이기때문에 이온을 고속으로 전도시키는 것이 어렵고,
   이것이 본격적인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전지는 널리 보급되어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에서 전기자동차에까지
   사용도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에는 안전성이 높고 수명도 긴 전고체전지가 대신할 존재라고 생각되고 
   있다. 현시점에서는 과제도 많고 대학이나 기업에서 연구되고 있는 단계이지만 빠른
   미래에 본격적으로 실용화될 것으로 생각되어 지고 있다.

■ 전고체전지의 이점

   - 안전성이 높다.
     리튬이온전지에는 전해액으로 유기용제계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누액, 발화/파열 등의 위험성이 있다. 
  
   - 급속충전이 가능

   - 높은 에너지 밀도

   - 작동온도범위가 넓다. 
     리튬이온전지는 작동 온도 범위에 제한이 있다. 고온에서는 세퍼레이터의 용해나 
     발열이 일어나고 저온에서는 전해액의 점도가 높아 지므로 내부저항 상승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고온에서도 저온에서도 전지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전고체전지에서는 고체전해질의 안전성이 높고 리튬이온전지와 같이
     고온이나 저온상태에서도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 설계적으로 자유롭다. 

   - 기능저하에 되기 어렵다.  
     리튬이온전지에서는 전해액내를 리튬이온만이 아닌 다른 물질도 이동합니다. 
     이때문에 전지로서 의도했던 반응 이외의 부반응이 일어나 버린다. 이 부반응이
     기능저하의 원인이 된다.    
     한편, 전고체전지에서는 고체 전해질이기 때문에 리튬이온 이외의 물질이 전해질 내를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리튬이온전지와 같은 부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기능저하가 되기 어려운 특징을 갖는다. 
 
   - 누액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상의 이유로 향후 전고체전지개발이 기대되는 이유이다. 

#매니저 #Manager #관리 #개선 #분석 #데이터마이닝 #데이터분석 #kaizen #클러스터링 #데이터 #개선관리 #관리개선 #빅데이터 #Management #개선분석 #그룹핑 #관리기초 #보스 #꼰대 #프로젝트 #PM #프로젝트매니저 #가설검증 #Boss #품질 #Quality #다변량분석 #단변량분석 #프로파일링 #변수 #시스템 #프로세스 #일본 #일본어 #지식 #원가 #원가관리 #일정 #일정관리 #리스크 #리스크관리 #공수 #공수관리 #근거 #보스월드 #정량 #정성 #유의분석 #상관분석 #실험계획법 #표준편차 #목적 #목적관리 #계수 #계량 #재무 #생산 #생산관리 #구매 #구매관리 #품질기초 #통계 #통계기초 #4M #8D #5-Why #PDCA #ISO #샘플 #모집단 #표본 #3무 #전고체 #이차전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