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Ss World

BOSS는 매니저인가 꼰댄가 _ (2)Manager역할과 능력 본문

프로젝트매니저 길라잡이

BOSS는 매니저인가 꼰댄가 _ (2)Manager역할과 능력

BOSs World 2021. 3. 9. 07:26
728x90
반응형

 매니저의 역할과 능력은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 매너저의 역할 -

1. 목표/방향성 결정
   매니저의 중요한 역할로서 조직이나 부서의 목표/방향성을 결정하는 것이 있다. 

   '목표'라면 여러분도 무엇을 말하는지 알기 쉬우나, '방향성'이라면 조금 모호한

   단어로 인식되곤 하나,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전략/전술과 같아서 어떤 방법을

   취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러분이 소속되어 있는 조직(회사)의 '목적'은 공적기능을 하는 곳이 아니라면

   '조직이 보다 높은 이익을 내는 것'일 것이다. 

   이러한 목적(Goal)을 달성하기 위해, 실행과정 중에 한개 또는 수십개의 목표를

   설정하여 조직원들이 방향성을 잃지 않고 Goal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2. 적재적소에 인재배치
   목표와 방향성이 결정되었다면 진행할 프로젝트나 수행해야 할 업무내용을

   상세히 결정하여 최대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멤버나 팀을 선임한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사람/조직의 현황 및 능력/지향성, 동기부여 등을 사전에

   파악하고 있어야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다. 

 


3. 동기부여 
   최대의 퍼포먼스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동기부여가 매우 중요하다.

   목표를 향해 멤버들이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는 것을 어떻게 "하고 싶다"라고 

   생각하게 하는가가 매니저의 주요한 능력이다, 동일한 능력을 가진 집단이래도

   '시켜서 하는 일'과 '하고 싶어서 하는 일'에는 다른 결과가 얻어 질 것이다. 

 

   "하고 싶다"라고 생각하게 하려면 이유/동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유와 동기를 다른 말로 바꾸면 '동기부여'라고 할 수 있다. 

   동기부여에는 [외부기인]과 [내부기인] 두가지가 있다. 


   외부기인이란 인센티브 등의 포상이나 저성과에 대한 질책 등, 외부의 자극으로 

   얻어지는 것이고, 내부기인이란 자신의 흥미나 관심 등, 내부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 동기를 적절히 활용하여 멤버의 동기부여를 높여야 한다. 

 

 

4. 인재육성/능력개발
   단기적인 성과도 요구되는 매니저는 업무량이 많아 중기적인 인재육성이나

   능력개발에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기 어렵지만 회사나 조직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인재육성은 필요하다. 


5. 평가(분석)/지도(피드백)
   목표에 대한 진척상황을 파악, 멤버의 동기부여를 높이고 스킬과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적절한 평가(분석)나 지도(피드백)를 행해야 한다. 
   숫자로 표현되는 성과만이 아니고 숫자로 나타내기 어려운 능력이나 의욕/공헌도

   등도 적당히 평가하지 않으면 멤버의 동기부여를 저하시키거나 퍼포먼스저하로 

   연결되곤 한다. 

 

 

-매니저에게 필요한 능력-

1. 논리적 사고력(Logical Thinking)
   논리적사고란 "누구라도 알수 있도록"인과관계를 정리하고 알기 쉽게 설명되도록

   생각하는 것이다. 원인/결과/영향 등을 추상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닌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판단하는 것이다. 

 

 

   매니저는 회사나 조직의 방향성/목표/구체적인 프로젝트 내용, 미션 등을

   많은 사람에게 다양한 정보의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정보전달이

   원할하지 않으면 프로젝트는 물론 경영에 크나큰 타격을 줄 수 있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기 위해서는 탁월한 논리적사고능력이 요구된다. 



2. 의사결정력
   매니저에게는 경영방침에 따라 관리부서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미션이 있다.

   너무 많은 생각을 하면 의사결정이 늦어져 버리고, 경쟁사에 주도권을 뺏겨 매출성장의

   기회를 놓치거나 보다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매니저는 관리하는 조직이 최대한의 퍼포먼스를 발휘하도록 시의적절하게 속도감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아무리 좋은 결정도 시기를 놓치면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주변에는 이른바 '결정장애자'들로 넘친다. 매번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하는 매니저에게는 필요불가결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3. 소통(Communication)
   많은 이를 관리해야 하는 매니저에게는 어떻게 멤버와 상사/부서간 원할히 의사소통을

   행할 것인가가 업무를 수행의 관건이며 보다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단지 의사소통만이 아닌 정기적인 소통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문서(메뉴얼/보고서)나

   회의체를 통한 소통도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4. 사람을 판별하는 능력
   매니저의 주요한 역할 중 하나는 업무분배이다. 멤버전원의 됨됨이/마인드/자세/스킬/상황

   등을 파악하여 단기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인 시점을 가지고 앞으로 어떻게 해 나가야 할지 

   예측하는 능력도 요구된다. 누구에게 어떤 업무를 맡기면 최대퍼포먼스가 발휘될지를 

   생각하여 팀으로서의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가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장에서는 구체적인 매니저의 업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매니저 #Manager #관리 #개선 #분석 #데이터마이닝 #데이터분석 #kaizen #클러스터링 #데이터 #개선관리 #관리개선 #빅데이터 #Management #개선분석 #그룹핑 #관리기초 #보스 #꼰대 #프로젝트 #PM #프로젝트매니저 #가설검증 #Boss #품질 #Quality #다변량분석 #단변량분석 #프로파일링 #변수 #시스템 #프로세스 #일본 #일본어 #지식 #원가 #원가관리 #일정 #일정관리 #리스크 #리스크관리 #공수 #공수관리 #근거 #보스월드 #정량 #정성 #유의분석 #상관분석 #실험계획법 #표준편차 #목적 #목적관리 #계수 #계량 #재무 #생산 #생산관리 #구매 #구매관리 #품질기초 #통계 #통계기초 #4M #8D #5-Why #PDCA #ISO #샘플 #모집단 #표본 #3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