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Ss World
BOSS는 매니저인가 꼰댄가 _ (3)Manager의 업무 본문
매니저의 업무는 크게 방침 전개와 관리업무로 나눌 수 있다.
방침전개와 관리업무의 상세내용은 아래와 같다.
(1) 명확한 방침을 전달
매니저의 업무로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팀방침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왜냐면 팀이 하나가 되어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팀멤버전원이
각자의 위치를 자각하고 같은 방향을 향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방침전개에 있어서는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멤버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다.
[Core Values] 팀의 확고한 신념을 설명
[Purpose_Why] 팀이 존재하는 이유/ 팀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
도대체 왜 여러분의 팀이 존재하는가? 어떠한 상품/서비스를
여러분은 제공해서, 왜 여러분 팀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
하는 것이 중요한가? 만약 여러분의 팀이 존재하지 않으면
어떠한 일이 벌어지는가? 여러분 팀의 존재 이유를 팀멤버가
확실히 이해하면 업무의 만족감을 높이고 팀내 유대감도
강해지고 대립이 적어진다.
[Mission_What] 팀이 달성하려는 목표
팀의 존재이유와 팀으로서 공유된 가치관이 결정되면 자연히
무엇을 이루어 낼 것인가, 그 목표가 보이게 될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목표가 이상적이고 확실한 성공의 그림이
떠오르는 것이다. 또, 매니저의 역할은 팀으로서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물론이고 팀멤버의 육성도 중요한 역할이다.
팀목표만이 아니고 개개인이 어떤 캐리어패스를 그리고 있고,
실현을 향해 어떤 능력을 키워서, 어떠한 성과를 이루어내고
싶은가를 개인의 목표로서 함께 정해갈 필요가 있다.
[Stratery_How] 팀이 미션을 실현하기 위한 계획
[GOALS] 전략은 중/단기로 나누고, 달성가능한 목표를 제시
(2) 관리
■ 프로젝트 관리
팀방침이 결정되면 우선 현재 해야 할 타스크를 멤버에 분배한다. 멤버의 흥미나
특징을 고려한 후에 그들의 강점에 어울리는 업무를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한된 자원을 어떻게 효율 좋게 배분하는가가 프로젝트를 진행해 가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다. 또 매니저는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관해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진척상황이 예정보다 늦거나 외적요인에 의해 급히 계획을 변경해야만 하는 것은
극히 당연한 것이지만 그러한 상황에서도 유연히 팀이 지향하는 방향을 정하고,
팀을 이끌 필요가 있다.
■ 멤버 관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한편, 멤버를 육성하는 것도 매니저의 역할이다. 정기적으로
매진저가 멤버와 일대일 미팅을 실시한다. 1,2 주간에 한번 30분 내외 정도의 시간을
가지는 것이 이상적이다. 미팅은 코칭스타일을 이용한다.
코칭이란 질의를 중심으로한 대화를 통해 상대가 아이디어나 선택지를 자신이
생각해 내고 자발적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주체적인 행동을 추가함으로써 멤버는 하고 있는 업무를 자신의 것으로
생각하여 높은 동기부여로 업무를 완수한다. 미팅의 핵심으로는 멤버가 지향하고
있는 목표와 현재상황을 비교해서 잘하고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을 듣습니다.
그런 후에 잘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원인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지
등을 청취한다.
■ 성과 평가
목적을 설정했을 때에는 명확히 팀과 개인의 목표에 대해 어느 정도 성과를 냈는가에
따라 평가된다. 성과를 평가할 때는 결과에만 주목하기에 외적인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 능력 평가
성과를 평가할 때에는 외적인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경기의 영향이랄지
본인으로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영향에 의해 당초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거나 그 반대로
본인의 노력없이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는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외적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직능 요건을 어느 정도 충족하고 있는가의 관점에서도
평가한다. 직능요건이란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멤버가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조직과
조직내의 포지션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전문지식이나 전문기술이 높은 정도나 이해력/결단력, 실행력이나 판단력 등의 보편적
능력까지 폭넓게 평가한다.
■ 정성 평가
성과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 또 한 가지 중요한 요소가 정성이라는 것이다. 정성이란
업무에 대한 의욕이나 자세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협조성/적극성, 책임감 등이 해당된다.
이상의 내용으로 매니저업무를 수행한다면 중장기적인 관리면에서도 유리하다.
#매니저 #Manager #관리 #개선 #분석 #데이터마이닝 #데이터분석 #kaizen #클러스터링 #데이터 #개선관리 #관리개선 #빅데이터 #Management #개선분석 #그룹핑 #관리기초 #보스 #꼰대 #프로젝트 #PM #프로젝트매니저 #가설검증 #Boss #품질 #Quality #다변량분석 #단변량분석 #프로파일링 #변수 #시스템 #프로세스 #일본 #일본어 #지식 #원가 #원가관리 #일정 #일정관리 #리스크 #리스크관리 #공수 #공수관리 #근거 #보스월드 #정량 #정성 #유의분석 #상관분석 #실험계획법 #표준편차 #목적 #목적관리 #계수 #계량 #재무 #생산 #생산관리 #구매 #구매관리 #품질기초 #통계 #통계기초 #4M #8D #5-Why #PDCA #ISO #샘플 #모집단 #표본 #3무
'프로젝트매니저 길라잡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 매니저" 3개월 프로젝트_일정관리(1) (0) | 2021.03.11 |
---|---|
"나도 매니저" 3개월 프로젝트_(1)PDCA-2 (0) | 2021.03.10 |
"나도 매니저" 3개월 프로젝트_(1)PDCA-1 (0) | 2021.03.10 |
BOSS는 매니저인가 꼰댄가 _ (2)Manager역할과 능력 (0) | 2021.03.09 |
BOSS는 매니저인가 꼰댄가 _ (1)Manager란 무엇인가? (1) | 2021.03.08 |